전북도는 행정안전부로부터 봄철 가뭄대책 사업비로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21억원을 확보했다.
22일 도에 따르면 이번에 확보된 특별교부세는 이앙기(4~6월)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예상되는 김제·정읍·부안지역에 관정(12공), 양수장(2개소) 등 대체 수원공 개발을 위해 집중적으로 투입된다고 밝혔다.
이는 지속되는 가뭄 상황에서 도내 농업용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이 59.4%, 평년 대비 77.2%로 이앙기 용수공급은 가능하나 섬진강댐 저수율이 19%로 낮아 김제·정읍·부안지역 농경지(33천ha)의 부족한 농업용수 확보 대책의 일환이다.
또한, 농어촌공사는 섬진강댐 저수량이 90백만톤이나, 이앙기에 필요 용수량은 1억톤으로 ▲하천 담수(8백만톤) ▲저수지 양수저류(9백만톤) ▲금강 하천수, 부안댐 등 보충수(15백만톤) ▲농경지 퇴수 재이용(15백만톤) 등 47백만톤을 추가 확보해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.
도는 올해 1,462억원을 투입해 천수답・전, 들녘 말단부 등 가뭄 우려지역에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저수지 증설, 관정 개발, 양수장 설치 등 대체 수원공 개발과 용수 공급시설을 확충해 대응할 계획이다.
먼저, 국지적으로 가뭄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는 단기 가뭄대책으로 87억원을 투입해 관정(678공) 개발, 둠벙(15개소) 설치, 송수관로(1개소) 등 부족한 용수원을 개발한다.
상습적으로 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에는 중장기 가뭄대책으로 1,375억원을 투입해 저수지 증설, 지역 간 용수공급 체계재편, 노후 파손된 수리시설개보수를 통해 안정적인 농업용수를 공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.
주요 사업으로 ▲저수지 신・증설, 양수장 설치 등 다목적 농촌용수개발(245억) ▲지역간 효율적인 용수 공급 등 농촌용수 이용 체계재편(105억) ▲흙수로 구조물화 및 노후・파손된 수리시설물 개보수사업(1,060억)이다. 양경미 기자